카테고리 없음

국민 4명 중 1명 생성형 AI 사용… 유료 이용자 7배 증가

공장KING 2025. 5. 29. 22:00

국민 4명 중 1명 생성형 AI 사용

검색부터 음악 생성까지 AI 활용 확산… 알고리즘 투명성 요구도 커져

생성형 AI, 한국 일상 속으로 본격 진입… 윤리·접근성 논의도 확대


2024년, 한국 국민 4명 중 1명이 생성형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유료 AI 이용자는 전년 대비 7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조사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발표한
‘2024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로,
AI 기술의 일상화와 더불어 사용자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생성형 AI 경험자, 1년 만에 두 배… 전체 24%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만 15~69세 국민 4,4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응답자의 24.0%가 생성형 AI 사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2023년(12.3%) 대비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로,
AI가 대중 속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유료 이용자 7배 증가… 활용 범위도 텍스트 → 이미지·음성으로 확대

AI 유료 서비스 이용자 비율은 7.0%로, 전년(0.9%) 대비 7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2023년에는 텍스트 생성 비중이 81.0%로 압도적이었지만,
2024년에는
텍스트(57.2%)뿐 아니라 음성·음악 생성(21.4%), 이미지 생성(11.8%)
다양한 창작 활용이 본격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I 사용 이유는? “검색 효율”, “업무 보조”, “대화 상대”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이유로

  • “정보 검색에 효율적이다”(87.9%)
  • “일상 업무를 도와준다”(70.0%)
  • “대화 상대가 필요해서”(69.5%)

등이 꼽혔습니다.

이는 AI가 단순 기능 도구를 넘어, 디지털 동반자 역할까지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AI 기피 이유는? “이해 어려움”, “개인정보 우려”

AI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 “지식 수준이 높아야 할 것 같아서”(65.2%)
  • “개인정보 유출이 우려돼서”(58.9%)
  • “사용 방법이 복잡해 보여서”(57.3%)

등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는 기술의 접근성과 프라이버시 불안감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알고리즘 투명성 요구, 70% 육박… “선별 기준 공개해야”

전체 응답자의 69.8%가 AI 추천 서비스에서 콘텐츠 선별 기준을 공개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는 2022년 대비 16%p, 2023년 대비 7%p 증가한 수치로,
AI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 요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인식: “맞춤성 좋다” VS “정보 유출 우려”

포털과 유튜브의 추천 알고리즘에 대해

  • 포털은 72.1%,
  • 유튜브는 71.3%가

“내 취향에 맞게 추천해줘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에는

  • 포털: ‘불법 정보 노출 우려’(47.4%)
  • 유튜브: ‘개인정보 유출 우려’(48.2%)

가 가장 큰 우려사항으로 꼽혔습니다.
2023년의 ‘가치관 편향’에서 우려 포인트가 옮겨간 점이 특징입니다.


생성형 AI 이용 트렌드 요약

항목 2023년 2024년

AI 사용 경험 12.3% 24.0%
유료 이용자 비율 0.9% 7.0%
주 이용 분야 텍스트 생성(81.0%) 텍스트(57.2%), 음성(21.4%), 이미지(11.8%)
사용 동기 검색 효율성, 업무 지원, 대화상대  
비이용 이유 이해 어려움, 프라이버시 우려, 복잡성  
알고리즘 투명성 요구 콘텐츠 선별 기준 공개(69.8%)  

과제는 ‘확산 이후의 책임’… 신뢰 확보가 핵심

생성형 AI의 대중화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지만,
그만큼 알고리즘 공정성, 정보 노출 기준, 개인정보 보호 등 신뢰 기반의 사회적 논의가 절실합니다.

향후에는
제도적 보완과 기술 설명력 강화,
이용자 보호 및 투명성 강화
AI 기술 발전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