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이 일부 시설 매각 계획을 발표하면서 노조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현재 진행 중인 임금협상에서 노조는 직원 1인당 약 4천만 원의 성과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임금 요구와 회사의 경영 전략이 맞물리며 향후 전개가 주목된다.
임금협상 시작과 매각 계획으로 인한 갈등
한국GM과 노조 간 임금협상이 시작되었지만, 사측의 부평공장 일부 시설과 서비스센터 매각 계획이 발표되자 갈등이 더욱 격화되었다. 이는 사측의 경영 전략과 노조의 고용 안정 요구가 충돌하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첫 교섭 참석자와 진행 상황
지난 29일 인천 부평구 한국GM 본사에서 첫 임금협상이 열렸다. 노조 측에서는 안규백 지부장 등 20명이, 사측에서는 닥터 비자레알 사장 등 18명이 참석했다. 예정된 상견례가 있었지만, 사측의 불참으로 인해 노조의 불만이 더욱 커졌다.
노조의 불만과 비판
노조는 사측이 상견례에 불참하고 매각 계획을 먼저 발표한 점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안규백 지부장은 “2001년 GM이 대우자동차를 인수한 이후 상견례를 건너뛴 적이 없다”며 “조합원 7,000명을 상대로 싸움을 건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영섭 정비부품 지회장은 정비센터가 고객 서비스 품질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매각 계획에 반대했다.
사측의 입장과 매각 추진 배경
사측은 이번 매각 추진이 한국GM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수익성 확보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닥터 비자레알 사장은 “한국에서 철수 계획은 전혀 없다”고 강조하며, 매각 대상 시설은 현재 및 향후 생산 계획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고객 서비스와 직원 고용 보장 방침
사측은 전국 9개의 직영 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의 유휴 자산 및 저활용 시설 매각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고객 서비스는 협력 정비센터 30여 곳을 통해 계속 제공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매각 이후 서비스센터 직원들의 고용 보장 방침도 마련했다고 전했다.
노조의 성과급 요구
노조는 이번 임금협상에서 월 기본급 141,300원 인상과 함께 지난해 단기 순이익의 15%를 기준으로 직원 1인당 약 4,136만 원의 성과급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는 매각 결정에 따른 긴장 국면에서 노동자들의 결집을 도모하기 위한 노조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갈등의 향후 전망
노사 양측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면서 임금협상을 계기로 갈등이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이번 협상 결과는 한국GM의 경영, 고용 안정, 생산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